![]()
![]()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평생교육의 개념
2. 태권도 수련의 가치
Ⅲ. 평생교육으로서 태권도 수련 활성화 방안
1.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 현황 및 문제점
1)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 현황
2) 평생학습 불참요인
2. 평생교육으로서의 태권도 수련을 위한 활성화 방안
Ⅳ. 결론
V. 참고문헌
본문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 문제점을 짚어내어 평생교육을 통해 어떻게 태권도 수련을 활성화할 수 있을지 고찰하는 것에 있으며 이를 위한 자료로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22년 발표한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실태” 통계자료를 사용하고자 한다.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실태”는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 만 25세~79세에 해당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평생학습 참여율과 참여 배경 등을 조사한 자료로, 한국 성인의 평생학습 참여 배경을 알아볼 수 있는 비교적 신뢰할 만한 자료이다.
우리나라는 1980년 헌법에 ‘국가의 평생 교육 진흥 의무’가 명시된 이래로 1990년 중앙교육평가원에 학위검정부(독학학위제 업무)가 설치되어 평생교육 전담 기구가 출발하였다. 이는 평생 교육 진흥을 국가 차원의 의무로 규정했다는 의미이며, 대학사회교육원 및 학교와 연계된 지역사회교육을 확대할 수 있는 근거이자 시작점이라 할 수 있다.(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2) 최근 평생교육을 진작시키기 위해 국가적으로 책임을 강화하고, 평생교육 기관을 증가시켜 다양한 형태의 평생교육활동을 추진하고 있는데,(이기성, 2007) 평생교육은 교육과정을 시행한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고, 학문의 역사도 비교적 짧지만, 전인적인 교육철학을 가지고 있어 현재 UNESCO, OECD 등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김정헌, 2010)
전인 교육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는 평생교육과 태권도를 접목하고자 하는 시도는 바람직하지만, 아직 평생교육으로서 태권도 수련이 크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평생교육으로서 태권도 수련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소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깊이 있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바탕이 되는 자료에 관해 설명하고, 2장에서는 평생교육의 개념과 태권도 수련의 가치를 알아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