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동시’와 ‘나쁜 동시’의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좋은 동시
2. 나쁜 동시
3. 차이점
4. 좋은 동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동시는 어린이를 주로 독자로 예상하고, 어린이의 정서를 위한 시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새국어대사전」에 의하면 어린이를 위한 시이며, 어린이의 동심 세계를 표현한 시라고 정의한다. 동시는 말 그대로 풀이하면 동심을 기반으로 느낌이나 생각 따위를 시적 언어를 사용하여 형상화한 글이며, 이것은 주로 어린이를 위한 시이고, 어린이가 건전한 정서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예술 행위이자 교육 행위이며, 동시는 시와는 다르게 동심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초로 하고 있고, 주요 독자가 어린이인 만큼 교육적 기능을 감안해야 한다. 또한 동시는 어린이다운 감정과 마음을 소재로 하는 시이며, 어린이의 정서 표현을 음악적 수단을 통해 표현한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동시가 가진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는 박자를 맞추면서 리듬에 쾌감을 느끼고 즐거워할 수 있다. 이것은 유아가 언어와 리듬 음악성에 대해 최초로 자각하여 즐거움 정서를 표현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동시를 통해 얻는 기쁨은 동시에 포함되어 있는 언어적 리듬에 대한 생생한 반응이다. 이것은 동시를 읽음으로서가 아니라 들음으로써 은유를 즐기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인간 생활과 자연에 대해 생생하게 표현한 내용을 즐길 수도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