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보육유형
1) 대리육아형과 공동육아형
(1) 대리육아형
① 장단점
(2) 공동육아형
① 장단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 부모가 된 사람들은 자신의 부모세대가 사용했던 자녀양육 방법을 사용하기 보다는 자신의 철학에 맞게 교육하고자 한다. 건강한 가족을 만들어나가기 위해 노력하며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며 키워나가려고 한다. 건강한 가족을 개인의 발달과 자율성을 도모하며 가족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지고 적절한 유대관계를 유지해 가족체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족이라 하였다(유영주 외 , 2013).
최근 가족정책의 패러다임은 시설중심에서 가족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대리양육을 이용할 때 가족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잘 판단해야 한다. 대리육아는 부모가 혼자서 자녀양육하기 힘들 때 조부모나 베이비시터, 보육시설 등을 통해 자녀를 키워나간다. 공동육아는 ‘우리 아이 함께 키우자’라는 뜻을 의미한다(정병호, 1994). 아이를 키우는 문제가 부모만이 아닌 이웃, 지역사회, 국가가 함께 키우고자 하는 사회운동의 성격을 띠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