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보장 성인간호실습 사례연구 (간호진단 및 중재 7개 첨부됨)

목차

Ⅰ. 질병의 기술
Ⅱ. 간호사정
Ⅲ. 간호과정 적용
Ⅳ. 맺음말(소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장간막 동맥 혈전색전증(SMA occlusion thrombosis)의 정의

혈전은 혈관 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한다. 정상 상태에서는 여러 가지 혈전형성인자와 조절인자가 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이러한 인자들의 균형이 깨지게 되면 혈전이 형성될 수 있다. 혈전은 혈류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하다가 혈관을 막게 된다면 혈전색전증이라고 말한다.
장간막 동맥은 복부의 주요 장기에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혈관이다. 상부 장간막 동맥은 복부대동맥에서 빠져나와 십이지장 및 췌장에 혈액을 공급하고 하부 장간막 동맥은 대장, 직장에 혈액을 공급한다. 장간막 동맥 혈전증은 장간막 동맥에 혈전이 생겨 혈액 순환이 차단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는 복부 장기의 혈액공급을 막아 장기 괴사를 일으키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2. 원인과 병태생리

1) 혈전의 원인
혈전은 비르효의 세 증후에 의해 형성된다. 비르효의 세증후는 정맥정체, 과응고력 및 정맥벽의 손상을 뜻한다. 혈전이 형성이 되려면 세가지 중 적어도 2가지 상태가 있어야 한다.
① 정맥의 정체
장딴지 근육의 펌프가 없거나 움직이지 않으면 정맥정체를 초래하며, 그 외에도 수술이나 비만, 임신 및 울혈성 심부전 시 초래될 수 있다.
② 과응고력
과응고력은 종종 장기암이나 난소암 같은 악성 종양시 나타난다. 또한, 탈수와 혈액질환은 혈소판을 증가시키고 섬유소 용해를 감소시키며 응고 요인을 증가시키거나 혈액의 점도를 증가시킨다.
③ 정맥벽의 손상
정맥벽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상태는 정맥 내 주사, 폐쇄혈전혈관염(Burger’s disease), 골절 및 탈골, 경화제로 인한 화학적 손상, 클로르테트라사이클리과 같은 몇가지 항생제이다. 정맥벽이 손상되면 그곳에 혈소판을 끌어모으고 혈액 찌꺼기가 축적되게 된다. 이는 혈류를 느려지게 하고 과응고력인 상태와 합해져 혈전을 형성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