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Brith weight 사례보고서 PBL, 진단 6개 과정3개

목차

1. 문헌고찰
1) 원인 및 유발요인
2) 증상
3) 진단방법
4) 치료
5) 합병증, 예후

2. 간호사정
1) 일상생활력
2) 출생력
3) 건강력
4) 투약
5) 검사 및 처치
6) 신체사정
7) 신생아 재태기간 사정
8) PBL을 적용한 간호사정

3. 간호과정

4. 느낀점

5. 출처

본문내용

1. 원인 및 유발요인
명확한 이유는 없다. 하지만 산모가 다음과 같은 경우 조산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 이전에 조산아를 출산한 경우
– 여러 번 유산이나 임신중절을 경험한 경우
– 자간전증이나 심장 또는 신장 질환과 같은 다른 건강 문제가 있을 경우
– 치료받지 않은 감염이 있을 경우(ex. 요로감염)
– 쌍둥이 또는 세쌍둥이를 임신하고 있는 경우
– 임신을 위해 시험관 수정(IVF)을 사용한 경우
– 흡연자인 경우
– 산전 관리를 받지 않은 경우

2. 신생아 분류
1) 재태연령에 따른 신생아 분류
– 미숙아, 조산아(preterm infant) : 재태연령 37주 전에 출생한 신생아
– 만삭아(full-term infant) : 재태연령 37~42주 사이에 출생한 신생아
– 과숙아(postterm infant) : 재태연령 42주 후에 출생한 신생아

2) 체중에 따른 분류
– 저출생체중아(Low Birth Weight, LBW infant) : 출생 시 체중이 2,500kg 미만
– 극소저출생체중아(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nat) : 출생 시 체중이 1,500g 미만
– 초극소저출생체중아(Extremely Low Birth Weight, ELBW infant) : 출생 시 체중이 1,000g 미만

3) 재태연령 – 체중에 따른 분류
– 부당경량아(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 출생 시 체중이 자궁 내 성장곡선 상 10% 미만인 신생아
– 적정체중아(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GA) : 출생 시 체중이 자궁 내 성장곡선상 10~90%에 있는 신생아
– 부당중량아(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 출생 시 체중이 자궁 내 성장곡선상 90% 이상에 있는 신생아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