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서론
B. 문헌고찰
1. 자궁선근증(adenomyosis)
1) 정의
2) 증상
3) 진단검사
4) 치료
5) 합병증
2. 복강경 검사(Laparoscopy)
1) 정의
2) 수술 전 간호
3) 수술방법
4) 수술 후 간호
C. 간호사정
1. 건강사정
2. 신체검진
3. 활력 징후 외 자료(BST, I/O)
4. 임상검사(laboratory findings)
5. 투약하고 있는 약물
6. 기타 진단검사
D. 간호과정
1. 현재까지의 간호사정 자료 요약
2. 간호진단(#1. 수술과 관련된 통증)
3. 간호진단(#2. 질병에 대한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E. 결론
F. 참고문헌
본문내용
A.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자궁선근증은 자궁근종과 함께 자궁선근증은 여성에게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자궁질환 중 하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자궁내막증(N80)’ 질환의 진료인원은 2016년 10만 4689명에서 2020년 15만 5183명으로 5만 494명(48.2%)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0.3%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자궁선근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빈혈을 동반하는 생리 과다와 생리통을 들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지속되는 골반통도 주요한 증상 중 하나다. 증상은 전형적으로 40대에서 50대 여성에서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1/3 정도에서는 별다른 증상이 없다. 또한, 자궁선근증은 치료 후에도 재발률이 높다. 이렇듯 불임의 원인이 되는 자궁선근증에 대해 알아보고 재발률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찾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B. 문헌고찰
1. 자궁선근증
1) 정의
자궁선근증(adenomyosis)은 자궁내막 선과 간질이 자궁근층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대개 자궁근의 비후가 동반된다. 자궁선근증의 육안적 소견은 자궁의 크기가 약 60%에서 비대되어 있으나 임신 12주 이상의 크기는 보이지 않으며 자궁의 무게는 대게 80~120g이다.
<중 략>
D. 간호과정
1. 현재까지의 간호사정 자료 요약
● 1순위: 수술과 관련된 통증
– 대상자는 수술 후 통증을 호소하였고, 진통제가 투여되었지만 2시간 30분 후 다시 수술 부위 통증을 호소하였다. 우선적으로 수술로 인한 통증을 해소해주는 것이 맞다고 생각한다.
● 2순위: 질병에 대한 불확실한 예후와 관련된 불안
– 대상자는 지인의 재발 소식을 듣고 불안해하였다. 불안은 수술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불안 완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3순위: 수술과 관련된 고체온
– 매슬로우 욕구 단계 중 생리적 욕구를 위협하지만 수술 당일 20:00~22:00 고체온이 나타났고 다시 정상체온으로 돌아왔으므로 시급성이 불안보다는 떨어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