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자음 체계에서 한국어 발음의 어려움
2) 모음 체계에서 한국어 발음의 어려움
3) 초분절음 체계에서 한국어 발음의 어려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재 한국어교육의 추세는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으로 의사소통에 전반적으로 문제가 없다면 발음은 중시하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실제로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에게 발음은 유창성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성을 가진다. 학습자가 아무리 한국어 문법을 정확히 쓰고 적절한 어휘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잘못된 발음으로 발화한다면 자신이 생각하고 말하고자 한 바를 청자에게 제대로 전달할 수 없기 때문이다. 나아가 잘못된 발음으로 인해 학습자의 언어능력은 실제보다 더 낮게 평가됨으로써 면접 또는 취업 등에서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
외국어 학습에서 학습자의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 척도는 말하기 기능이며 말하기 지도에 있어 기본이 되는 영역은 체계적인 발음 지도이다. 한국어를 전공하고 높은 성적으로 졸업한 학생이라고 하더라도 한국어 지식을 많이 가지고 있음에도 발음의 정확성과 유창성이 떨어져서 모국어 화자들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실제 언어생활 속에서도 문자 언어보다는 음성언어를 활용한 생활이 주류를 이루기 때문에 발음은 중요성을 가진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