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질문지와 면접조사표의 차이
2. 면접조사법
3. 집단조사법
4. 우편질문지법
5. 전화조사법
6. 개인적 자기 기입법
7. 참고문헌
본문내용
학문을 하는 데 있어서 이론을 구성하거나 수정할 경우, 어떤 경제적 사실을 실생활에 이용할 경우 그러한 사실로부터 획득된 정보를 필요로 한다. 조사표(schedule)라는 말은 질문지(questionnaire)라는 말과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면접 시에 보조기구로 쓰이는 면접지침(interview guide)이나 통제관찰 시에 이용되는 관찰표(observation schedule)와도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1. 질문지와 면접조사표의 차이
조사를 위한 질문지와 면접조사표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지(questionnaire)란 일련의 질문들을 체계적으로 담은 책자 또는 서류 형식(form)이라고 하겠는데, 응답자가 직접 질문에 대답을 기입하기 위한 것을 보통 질문지로 규정하고 있다.
둘째, 면접조사표(interview schedule)는 면접자가 피면접자 혹은 응답자에게 임어 주고 응답을 받을 때 사용하는 특수한 용도의 질문지다. 면접조사표에 의한 방법은 면접법과 질문지 자기 기입법이 있으며, 종류로는 필기면접(written interview)과 구두면접(oral interview) 등이 있다. 따라서 조사표에 의한 자료부집 방법이란 필요한 사실을 알아낼 수 있는 어떤 양식을 만들어 그 양식에 따라 기입하거나 기입시켜서 얻은 결과를 자료로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조사표에 의한 자료수집 방법과 면접 방법을 비교해 볼 때 다음과 같은 특징과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조사표는 필요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우편조사나 전화조사도 가능하며, 동시에 많은 사람을 집합시켜 놓고 실시할 수도 있어 큰 표본에도 적용이 용이하다.
둘째, 조사표는 표준화된 언어 구성 및 질문 순서 등에 의해 비개인적 성격(일관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질문의 제일성을 기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