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실습 A+ 케이스, 자연분만-지식부족, 쇼크위험성

목차

Ⅰ. 연구 목적
Ⅱ. 문헌 고찰
Ⅲ. 문헌요약
Ⅳ. 간호과정

본문내용

Ⅰ. 연구 목적

분만법에는 크게 제왕절개와 정상자연분만이 있다. 분만의 방법을 선택하는 방법에는 산모와 태아의 상태를 영향을 받는데 골반이 지나치게 좁거나 난산이 예상되고 전치태반인 경우, 태아가 거꾸로 선 경우나 옆으로 누워있는 등 머리가 아래를 향하고 있지 않은 경우 어쩔 수 없이 더 안전한 분만을 위해 제왕절개를 추천하고 있지만 출산 직후 산모의 빠른 회복력과 제왕절개에 비해 모유수유를 좀 더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어 모아와의 애착 형성을 더 촉진하는 것은 자연분만이므로 더 추천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정상 분만 시에 나타날 수 있는 병리적 상태를 파악하고 추후 생길 수 있는 문제들을 예방하고 간호중재를 연구하고 교육을 통하여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정상자연분만을 케이스로 선택하였다.

Ⅱ. 문헌 고찰

1. 정의
정상자연분만은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분만법이며, 산모의 몸에 특별한 이상이 없고 태아도 건강하면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진통이 시작되면 임부의 자연적인 분만력으로 아기를 낳는 방법이다.

2. 분만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5P)
1) 만출력(Power)
: 자궁의 수축력인 1차 만출력과 산모의 힘인 2차 만출력으로 구분된다. 이때 충분하지 못한 만출력은 제왕절개의 원인 중 하나이다.
– 1차 만출력 ; 불수의적인 자궁수축으로 자궁수축의 강도, 기간, 빈도를 의미한다.
– 2차 만출력 ; 산모가 수의적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복부근육 긴장, 횡경막 수축을 의미한다.

2) 산도(Passageway)
: 단단한 골반의 뼈부분과 경부, 골반치, 질, 질구 등의 연한 조직으로 구성

3) 태아(Passenger)
① 전후경선
– 소사경선 : 대천문 중심~후두융기 후하방 약 9.5cm
– 전후경선 : 미간~후두융기 약 12cm
– 이하대천문경선 : 턱~대천문 중심 약 9.5cm
– 대사경선 : 턱~소천문 약 13.5cm, 태아머리에서 가장 긴 경선
② 횡경선
– 대회경선 : 두정골의 좌우융기 사이 약 9.25cm
– 소횡경선 : 관상봉합의 양쪽 관자뼈 사이의 길이 약 8.0cm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