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아동과 상담을 하다 가정 내 폭행(자녀에 대한 부모의 폭행)이 일어나고 있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례를 설정하고 어떠한 절차로 상담을 진행해야 할 지 자신의 의견과 함께 논리적으로 전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적 장애아동의 사례관리의 이론적인 내용
1) 적절한 평가 및 진단
2) 개인화된 계획 수립
3) 대화 방식 조정
4) 정서적 안전 확보
5) 협력 체계 구축
6) 상담 후 추적 관리
2. 가정내 폭력이 있는 지적장애 아동의 구체적 상담사례
1) 래포형성
2) 문제의 규정과 역동의 확인
3) 구조화
3. 장애아동 전문 상담사의 역할과 윤리
4) 목표수립

Ⅲ. 결론

본문내용

아동학대는 현재 많은 사회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해당 아동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미래에도 이어질 수 있는 부정적인 영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아동학대 사례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2021년 아동학대 주요통계에 따르면, 아동학대 신고 접수는 총 5만 3932건이었다. 이는 전년 대비 27.6% 늘어난 것이다. 이 가운데 학대로 판단된 사례는 3만 7605건으로 전년 대비 21.7% 증가했다. 아동학대 행위자는 부모가 83.7%로 가장 높았다. 전문가들은 어린이들이 자신을 보호해줄 울타리라고 인식하는 부모 등 가족으로부터 가혹행위를 당하게 되면 ‘복합 외상(complex trauma)’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성인이 됐더라도 트라우마로 인해 사회에 잘 적응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자신이 가해자가 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장애아동은 일반적인 아동보다 학대 위험이 더 높다.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피해를 예방하거나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사전 예방 및 조치를 위해서는 전문적인 사례관리가 필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