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 요약
Ⅰ. 서론
Ⅱ. 본론
1. 카페인의 정의와 특징
2. 카페인의 작용 원리
3. 카페인의 부작용
4. 카페인의 장점과 적정 투여량
5. 카페인의 배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뇌의 아데노신 리셉터에 작용하여 피로감을 유발하는 아데노신과 분자 구조가 유사한 부분이 있어 섭취 시 경쟁적 저해제로서 아데노신 리셉터에 작용하여 중추 신경을 흥분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렇게 나타나는 피로 해소 효과는 실제로 피로를 없애고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잠시간 피로를 느끼지 못하도록 돕는 것일 뿐이다. 또한 이러한 작용은 우리 뇌가 아데노신 리셉터를 더 생산하여 피로가 심해지게 만들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우리 몸은 카페인을 더 많이 필요로 하는 악순환이 시작된다.
<중 략>
반면 카페인은 간의 손상 정도를 반영하는 간 효소 수치(AST, ALT)를 감소시켜 주는 효과도 있으며, 이는 간암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그럼에도 과다 섭취 시에는 위에서 언급했듯 건강 악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하루 권장량에 따라 적정한 양을 섭취해야 한다. 일일섭취 최대 권장량은 성인은 하루 최대 400mg 이하, 임산부는 300mg 이하, 어린이와 청소년은 각자의 체중 1kg당 카페인 2.5mg 이하이다.
체내에 들어온 카페인의 농도가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시간은 성인의 경우 3~7시간이지만, 카페인을 분해하는 효소 유전자와 아데노신 리셉터 유전자의 차이에 따라 카페인에 몸이 반응하는 정도인 민감도는 천차만별이다. 예를 들어 아데노신 리셉터가 카페인과 강하게 결합하고 카페인을 제대로 대사하지 못하는 효소를 가진 사람은 카페인에 극도로 민감하겠지만,아데노신 리셉터가 카페인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분해효소가 활발하게 작용하는 사람의 경우 둔감하다고 볼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