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코로나19이후 아동 일상 변화
2. 연구 방법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 세계는 코로나19로 인하여 어느 때보다 심각한 재난상황을 겪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을 선포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감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사회적 거리 두기를 발표하며 아동의 등교수업은 온라인 수업으로 대체됐고 아동 돌봄을 담당하였던 학원, 공부방 등의 이용 제한은 아동이 집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키게 만들었다. 이로 인하여 가족이 함께 하는 시간이 증가해 가족관계에 친밀감이 증가하기도 했지만 그렇지 못한 가정 속에서는 가정 돌봄의 과부하와 가족갈등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아동은 성인보다 재난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돌봄 환경의 변화에 따른 부모 자녀 간 관계 변화는 결정적인 발달 시기에 놓인 아동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기에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 속에서 아동의 일상 변화에 대한 면밀한 파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론에서는 최근 전염병의 확산으로 인한 재택근무, 사회적 거리 두기 등의 사회 변화가 많이 이뤄졌다. 이로 인한 인간의 행동 변화든, 심리적 특성의 변화든 하나를 선택하여 그 변화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연구 방법론으로는 어느 방안이 적절할까? 한 가지 사례를 들어 그 과정을 설명해 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