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전쟁기념관을 선정한 이유와 의미
2. 조성 목적
1) 보편적인 전쟁사의 이해
2) 6.25 전쟁의 의미를 되새김
3) 대한민국 군사력의 확인과 자부심 함양
3. 전쟁기념관의 현재 효과
4. 전쟁기념관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이용 패턴
5. 본인이 해당 장소에서 느낀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울은 과거에는 우리나라의 수도 수준이었지만, 오늘날에는 국제적으로도 경쟁력 있는 도시가 되었다. 뉴욕이나 파리, 런던, 도쿄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대도시가 되었다. 일본 모리기념재단 도시전략연구소에서는 지난 해(2022) 세계 도시 종합 경쟁력 순위를 발표했는데, 대한민국의 서울은 7위를 차지했다. 서울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6년 연속 6위를 차지하다가 2018년 이후로 8위로 밀렸다가 지난 해에 다시 한 단계 상승하여 7위가 되었다. 1위는 런던, 2위는 뉴욕, 3위는 도쿄, 4위는 파리, 5위는 싱가포르, 6위는 암스테르담이 차지했다. 아시아 국가 중에는 도쿄, 싱가포르, 서울이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는데, 싱가포르는 하나의 도시이면서 동시에 국가이기도 한 것을 감안하면 ‘도시’라고 할 만한 곳은 도쿄와 서울 두 곳인 셈이다.
모리재단에서는 2008년부터 매년 도시 경쟁력 순위를 발표해 왔다. 경제, 연구개발, 문화, 교류, 주거, 환경, 교통접근성 등 6개지 항목을 70개의 지표로 세분화해서 세계의 48개 중 도시의 경쟁력을 평가해서 순위를 발표한다. 모리 재단뿐 아니라 여러 연구 기관에서 도시의 경쟁력을 평가해서 순위를 발표하는데, 이 가운데 모리 재단이 가장 후한 평가를 한다.
평가 결과를 세분화 해 보면 서울은 경제 부문에서 14위를 차지했고, 주거 부문에서는 35위를 차지했다. 문화, 교류는 15위, 교통접근성은 16위를 차지했다. 연구개발(R&D), 환경은 각 6위와 14위를 차지했다. 다양한 평가 영역에서 골고루 중상위권을 차지했다고 할 만하다-주거 부문은 상위권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서울은 도시로써의 경쟁력을 갖췄을 뿐 아니라 외국인들에게 인기 있는 관광 도시로도 성장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코로나 팬데믹으로 세계 여행이 위축되면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해외 여행을 못 나간 것 만큼이나 다른 나라 여행객들도 해외 여행을 하지 못하면서..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