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간호학과]다문화사회와 건강 – 외국인근로자의 의료 정책 레포트

목차

1. 서론
1) 연구 배경
(1) 주제 선정 동기
(2) 외국인근로자 형성 배경 및 의료문제 배경
2) 연구 목적

2. 본론
1) 외국인근로자의 일반적 특성
(1) 외국인근로자의 정의
(2) 외국인근로자의 체류 형태
(3) 외국인근로자 인력 현황
(4) 노동 형태
2) 외국인근로자의 문화적 적응
(1) 외국인근로자의 사회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외국인근로자의 문화적응 유형
3) 외국인근로자의 의료이용 및 형태
(1) 외국인근로자의 건강상태 및 건강문제
(2) 외국인근로자의 의료복지혜택 및 의료보험
(3) 외국인근로자의 의료이용 형태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 배경
(1) 주제 선정 동기
만일 우리 가족구성원 중 한 명이 가족과 떨어져 타국에 있다면 어떤 기분일까? 다문화, 다민족 국가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 가족이 나타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과 결혼이민자와 같이 대한민국에 거주할 목적을 가지고 입국하는 분류와 다르게 본국에 가족을 두고 연수, 취업을 목적으로 체류기간동안 거주하는 이주노동자의 경우도 있다. 취업을 목적으로 체류하는 근로자들은 타국에서 어떤 권리를 가지고 보호와 혜택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고 만일 우리가 위와 같은 입장에서 타국의 병원이나 의료시설을 이용해야 할 상황이 온다면 어떤 문제가 있을지 알아보기 위해 본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2) 외국인근로자 형성 배경 및 의료문제 배경
과거 우리나라는 외국인근로자 이민 허용에 매우 소극적 태도를 유지하면서 외국인 정책을 추진해 왔다. 그러나 80년대 후반 노동시장의 성장 및 이후 계속되는 출산율 저하, 고령화 등으로 노동력 부족으로 인한 문제를 겪은 기업, 정부는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였다. 참여정부가 들어서면서 외국인 이민에 개방성을 부여, 외국인 처우개선을 통해 외국 정책의 총괄추진체계를 구축하였다. 그 결과, 2007년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수는 100만명을 넘겼다. 이렇듯 우리나라에는 ‘외국인근로자’라는 새로운 인구층이 형성되었다.
합법 외국인 근로자는 국민건강보험 가입 등 보건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으나 비자문제 또는 불법체류로 거주하는 외국인노동자는 불법 체류자라는 신분으로 인해 공적 보건 자원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어 왔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