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역할

목차

1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에 대한 이해
2 보건 진료소의 역할 및 기능
3 보건진료소의 변화전략 (보건진료소의 나아갈 방향)
4 느낀점

본문내용

2. 보건진료 전담 공무원의 구체적 역할
(1) 일차진료 역량

① 건강문제 진단
– 대상자의 증상을 기반으로 대상자의 건강문제를 진단한다.
(사양 보건진료소장님이 보건진료소장에 오시는 어르신들에 대해서 어르신들이 갖고 있는 건강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진료 및 상담을 실시함을 관찰함.)
② 약물처방
– 독자적인 진료업무를 담당하며 기존의 투약관리 외에 허용범위 내의 약물을 처방한다.
(사양 보건진료소장님은 어르신들이 갖고 있는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 등 다양한 약물 처방 하는 것을 관찰함.)

③ 응급처치
– 예상치 못한 사고나 응급상황에 따른 적절한 응급처치를 수행한다.
(사양 보건진료소장님은 전신 두드러기가 온 어르신에게 페니라민 주사를 투여하여 적절한 응급처치 하는 것을 관찰함.)

<중 략>

2 보건 진료소의 역할 및 기능

(1) 새로운 간호영역을 개척하는 초석이 됨
-건강문제가 있는 농촌주민을 독립적으로 진료하고 약을 처방할 수 있으며, 지역 진단결과를 토대로 창의적으로 자신이 계획을 세우고, 주도적이고 자율적으로 지역주민과 협력하면서 건강문제를 해결한다.
(사양 보건진료소장님은 일반 간호사와 다르게 직접 진료하고 약물을 처방하며 지역사회 주민들이 갖고 있는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관찰함)

(2) 지역사회에 동화되어감
① 보건진료 전담 공무원의 정체성을 홍보하고 존재감을 인정받기 위해 일차진료 뿐만 아니라 마을의 노인이나 장애인 등 소외계층, 낮 근무 시간 외, 휴일에도 성심 성의껏 돌본다.
(사양 보건진료소장님은 주말에도 어르신들이 보건진소장님한테 전화를 하시는 경우가 있으며, 이런 경우가 생길 때마다 교육 및 상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함)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