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건강사정
1) 일반적 간호정보
2) 건강력
3) 기능적 건강양상의 사정
4) 신체검진
5) 검사실 검사(혈액검사, 소변검사, 혈청검사)
6) 진단을 위한 검사
7) 최종 진단명
8) 치료과정
9) 수술 후 경과
Ⅱ.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호진단 1. 면역저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 주관적 자료:
“기운이 없고 온몸이 쑤시고 아파요.”
“침을 삼킬 때 목이 너무 따가워요.”
“온옴이 오들오들 떨렸다가 땀이 갑자기 많이 나요.”
▶ 객관적 자료:
난소암 진단 후 방사선 치료
39도 까지의 열, 오한, 인후염 호소 등
<중 략>
간호계획
-감염 증상을 사정한다.
-감염 관련된 검사를 관찰한다.
-감염예방을 위해 무균술을 지킨다.
-필요시 항생제를 투약한다.
-감염예방을 교육한다.
간호수행
-V/S을 8시간마다 수행한다.
-대상자의 ESR, CRP, WBC 수치를 매일 관찰한다.
-처방에 따라 Blood culture를 통해 원인균을 찾아 올바른 항생제를 찾는다.
-처방에 따라 혈액, 객담, 소변 배양, 흉부 X-선 촬영을 한다.
-환자 처치 전과 후에 손씻기를 한다.
-처방된 Tantum, Betadine을 이용해 각각 하루 세 번 gargling 한다
-처방에 따라 Piperacilline 4g + N/S 50cc mixed IVs q6hr 한다.
-중증의 구내염인 경우 조직 배양 검사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