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간호]- 인공관절 전치환술
<수술 전 간호>
1. 대퇴사두근 힘주기 운동이나 둔부근육 힘주기 운동, 고관절 신전 및 외전상태의 필요성 교육, 목발 보행이나 보행기에 대한 설명과 걷는 동장 설명.
2. 수술부위 제모 및 비누세척
+ 수술시작전 간호
• 이름과 등록번호 확인 (올바른 신분증명 팔찌 착용 확인)
● 모든 알려진 알레르기 기록, 만약 있다면 환자 팔찌에 알레르기 표시하기
● V/S 확인 및 기록
● 금식 여부 확인
● 수술동의서 서명 확인
● 수술 전 투약 확인
● 항생제 주입, 주입 후 부작용 반응 나타나는 지 확인
● 수술 전 마취 후 마취 Level 확인
● 마취 부작용 나타나는 지 확인
● 수술에 대한 불안 완화 간호 시행
● 수술 부위 피부 소독
● 수술 전 처방에 따른 수술부위 피부상태 확인
● 관장, 정맥주입 시작과 같은 처방이 완수 되었는지 확인
● 의치, 다른 보철기구가 있는 지 확인
● 보청기 있는 지 확인 (수술실 인력과 의사소통 할 수 있도록 보청기 착용)
● 병원 가운과 보호모를 착용, 처방에 따라 탄력붕대나 항색전양말 착용
● 피부색 관찰을 위해 화장 지우도록 함
● 배뇨하도록 한 후, 요량을 측정 및 기록
● 마취 전 약물을 투여한 후 낙상 예방을 위해 침상 난간을 올림
<수술 후 간호>
1. 운동으로 근력강화, 신경과 혈관 상태 점검, 진통제 사용으로 통증조절
2. 항생제, 항응고제(와파린, 헤파린, 아스피린 덱스트란 투여)-혈전의 위험과 감염위험 감소
3. 혈전정맥염 증상 관찰- 하지의 통증과 압통, 호만 징후, 하지부종, 미열, 빈맥 등
4. 간헐적 공기압박치료 IPC device 적용, 일반탄력붕대(DVT 예방)
5. 물리치료 및 조기이상 시 진통제 투여 후 시행
6. 욕창예방을 위해 피부간호 시행, 발뒤꿈치 관찰하여 욕창 징후 발견
7. 적절한 수분섭취, 고섬유식이 제공(변비 예방)
8. 체위: 고관절의 체위가 약 15도 정도 외전되도록 유지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