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부수술(종류, 수술 전 간호, 수술 후 간호, 퇴원 교육)

목차

1. 두부수술의 종류 p.1~2
2. 수술 전 간호 p.3
3. 수술 후 간호 p.4~5
4. 퇴원교육 p.6
5. 참고문헌 p.6

본문내용

1. 두부수술의 종류

종류
내용

개두술
(craniotomy)
– 두개절개술로 선천성 기형, 농양, 종양, 혈관손상 및 두개골 외상의 경우에 기혈을 교정하거나 병소를 제거하기 위해 두개골을 절개하는 것
– 병변의 위치에 다라 전두골, 두정골, 측두골로 접근
– 두개골에 3~6개의 천공(burr hole)을 만들어서 두개골 골편을 절단한 후 시술을 수행한 다음 다시 안전하게 골편을 부착
– 골편 절단 시 두개골의 일부는 두피에 남겨 두었다가 수술이 끝난 다음 제자리에 붙여 줌

두개절제술
(craniectomy)
– 두개골의 일부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종양, 혈종, 상흔, 뼈의 감염을 제거하기 위해 실시
– 주로 후두와 부위의 종양 제거 시 하나 이상의 천공(burr hole)을 만든 후 그 주위의 두개골을 제거
– 후두와 두개절제술은 제8뇌신경암, 소뇌-뇌교각 병변, 소뇌성상세포암, 후두와의 종양 및 뇌신경의 미세혈관 감압 시에 시행
– 개두술과의 차이점은 두개골을 복원하지 않는다는 점이며 두개골이 제거 된 부분은 두꺼운 경부근육으로 보호를 받고 있으므로 위험하지 않음
– 마취 후에 목을 두개골 클램프(skull clamp)나 두개골(skull pin)으로 고정하고 좌위나 반좌위를 취해줌
– 이러한 체위나 두부를 지지하는 틀은 두피 피부의 압력, 안면부종, 근육 등의 목의 욕창, 정맥 내 공기색전을 야기 시킬 수 있음
접형동
(나비굴) 접근수술
– 전방 상위 잇몸과 비강을 거쳐 접형동으로 접근한 후 주로 종양이 작고 터키안(뇌하수체에 있는 골상구조)에 위치해 있는 뇌하수체 종양을 제거하는 방법
– 코를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시행하거나 윗입술의 안쪽과 잇몸이 만나는 부위를 절개하여 이곳으로 내시경을 삽입하여 시행
– 접형골의 기저부를 절개하여 뇌하수체 종양을 제거한 후 → 뺨, 복부나 대퇴의 지방이나 근육 등을 이식하여 창상치유를 돕고 경뇌막을 싸서 뇌척수액이 새는 것을 방지
– 수술 후 출혈을 조절하기 위해 비강을 심지로 막아 코로 숨을 쉴 수 없으므로 구강간호가 매우 중요
– 수술 직후 뇌하수체호르몬 분비이상으로 인한 요붕증에 주의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