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선정 이유 및 문헌고찰)
2. 서론 (대상자 건강상태)
3. 본론 (진단검사)
4. 본론 (약물)
5. 본론 (I/O 및 간호진단)
6. 간호과정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S: “아아아아~” 하고 소리를 지르고 잠시 apnea와 Dyspnea 증상 나타남
O: ∙Mental 사정: Semi-coma
∙Chest AP: Both Pleural effusion (흉막 삼출) → 체액 정체
∙Chest AP: pul consolidation (폐경화) → 호흡곤란 원인
∙MRI: Rt. maxillary sinusitis [상악동 축농증]
∙Hx: Pneumonia
∙RR (불규칙)
∙보라색 입술이 관찰됨
∙때때로 호흡이 감소하는 모습이 관찰됨
∙피부는 건조하고 탄력성이 떨어지나 피부색깔은 보통임
∙가래를 끓는 소리를 내며 찡그린 표정이 자주 관찰됨
진단의 합리적 근거: 비효과적 호흡 양상의 정의는 적절한 환기가 되지 않는 흡기와 호기의 상태이다. 정의적 특성은 비정상적인 호흡양상, 분당 환기량의 감소,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난다. 관련 요인으로는 척추 손상, 비만, 신경계 손상(EKG 이상, 질환 등) 등이 있다.
∙ICU Nursing Record (5/12)
∙Admitted to ICU from ER by stretcher car ∙N/S 1L(R: 750) Lt.arm 18G IV 유지
∙Foley 16Fr/2way + Urine bottle 가져옴
∙Suction 시 loose form, Yellowish secretion large ∙자극에 눈 뜨려고 하나 눈 못뜨며 Pupil 2+/5- ∙질문하면 웅얼거리는 입모양 관찰되어지나 알아듣기 힘듬
∙폐쇄형 질문에 고개 끄덕거리다가 다소 부정확한 모습보임
∙움직임은 rigidity한 양상이 지속적임
∙복부의 burn wound 관찰되어짐
③ 입실 후 현재까지의 경과 (by 간호기록지)
∙입벌리고 mouth breathing 지속되어 oral dry 매우 심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