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실습 간호과정 2가지 – 자살의 위험, 비효과적 대처

목차

1. 정신신체적 징후 (스트레스와 관련될 수 있는 신체적 호소 기술)

2. 약물력과 사정
1) 처방약물
2) 처방받지 않은 약물
3) 불법 약물이나 알코올
4) 의미 있는 임상검사결과
5) 활동/휴식 양상
6) 개인위생/일상생활 활동

3. #1. 자살의 위험

4. #2. 비효과적 대처

본문내용

1. 대상자와 매일 면담하며 무비판적, 수용적 환경에서 본인의 불안, 걱정, 좌절감, 분노 등의 감정을 인식하고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이론적 근거: 감정을 표현함으로써 감정해소, 심리적 안정의 효과가 있으며 자살사고 및 행동 저변에 깔린 근본적인 감정과 원인을 탐색하고 표현하는 것은 치료과정의 일부로써 중요하다. 가장 좋은 중재는 좋은 치료적 관계를 유지하고, 정기적으로 치료 약속을 설정하며, 대상자의 자살 생각을 주의 깊게 사정하는 것이다. 신뢰하는 의료진에게 자살 생각을 말함으로써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 자살 생각과 자해 의도를 말로 표현하는 것은 자살 충동을 줄여 준다.
2. 대상자에게 본인의 감정 표현, 앞으로의 계획 등에 대한 대화는 얼마든지 할 수 있으나 예전의 자살 시도에 대한 디테일한 이야기를 반복해서 하지 않을 것임을 강조한다. 면담 시 감정, 주변상황, 인간관계 등에 대한 주제로 대화를 이끈다.

<중 략>

Nursing Implementation (수행)

1. 대상자에게 매일 “오늘 기분은 어때요?”, “잠은 잘 주무셨나요?”, “밥은 맛있게 잘 드셨나요?” 등 대화를 시도하며 함께 보내는 시간을 점차 늘려나감.
2. 대상자에게 “자살에 대한 생각이 입원 시와 달라졌나요?”라고 물음. – 대상자는 “좋아지고 싶어서 들어왔어요, 치료받고 싶어서. 지금은 자살 생각 없어요.”라고 대답함.
3. 대상자의 현재 우울 및 불안 상태 (0~10점으로 나타내 본다면) 5~6점 정도라고 함. 졸업 후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면 불안감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서 자살 생각이 들게 된다고 대답함.
4. 대상자의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는 사람 많은 곳에서 졸업 후 일한다는 것이기에 과거 10인 이하 업장에서 1주일 이상 일했던 경험 (대상자가 느끼기에 본인이 성취한 것)을 떠올려보도록 격려함.
5. 대상자가 현재 당면한 문제는 졸업 여부이며 이를 고민하면 불안해져 가슴이 심하게 뛴다고 말함.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