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ute bronchiolitis 세기관지염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2개)

목차

1. 문헌고찰
2. 대상자 사정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세기관지염(bronchiolitis) 또는 세기관지의 염증은 영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기도의 감염 질환으로서 감염에 의한 세기관지의 염증과 그로 인한 세기관지 폐쇄를 특징으로 한다. 기관지의 구조적 약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생후 2세 이전의 영아에서 주로 발생하고, 돌 전후에 가장 높은 발생 빈도를 보이며, 영아 입원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연장아나 성인들은 영아보다 세기관지 부종에 더 잘 적응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세기관지염의 특징적인 임상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겨울과 초봄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산재성 또는 유행성으로 발생한다.

2) 원인과 발생 빈도
영아는 보통 경한 호흡기질환이 있는 유아나 성인, 특히 가족구성원이나 돌봄자와의 접촉을 통해 발병한다.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는 쉽게 전파되고 주로 오염된 표면의 접촉을 통해 감염된다. 소아과 병원에서의 병원감염도 흔히 발생한다. respiratory syncytial virus(RSV)는 피부나 종이에서 최대 1시간까지, 그리고 아동용 침대와 다른 무공의 표면(nonporous surfaces)에서 6시간까지 살 수 있다. 비말감염은 아니지만 감염력이 높다. 대개 제대로 씻지 않은 손을 통해 전파된다. 철저한 손 씻기는 균의 전파를 감소시킨다.
RSV 외에 다른 원인균으로는 Mycoplasma, parainfluenza, adenovirus가 있다. RSV 감염은 겨울과 초봄 사이에 해마다 유행성 감염병으로 발병한다. 생후 6개월에 발병률이 가장 높다. 2세가 되면 거의 100%의 아동이 RSV 면역력이 생기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발병률과 중증도는 낮아진다.

3) 병태생리
급성 세기관지염은 감염에 의한 기도 점막의 부종 및 점액이나 세포 탈락물의 축적으로 인한 세기관지의 폐쇄를 특징으로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