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네스코의 탄생배경
2. 유네스코의 역할
3. 유네스코의 기관
4. 유네스코에서 평생교육 개념
5. 유네스코의 시대별 평생 교육 동향
6. 유네스코 주요 세계성인교육회의
① 제1차 1949년 덴마크 엘시노어
② 제2차 1960년 캐나다 몬트리올
③ 1965년 ‘세계 성인교육발전회의’명칭 등장
④ 제3차 1972년 세계성인교육회의
⑤ 1985년 제4차 세계성인교육회의 – 파리(프랑스)
⑥ 1997년 제5차 세계성인교육회의 – 함부르크(독일)
⑦ 2009년 제6차 세계성인교육회의(CONFINTEA VI)- 브라질 벨렘
⑧ 2022년 제7차 세계성인교육회의(CONFINTEA VII)- 모로코 6월
7. 현재의 유네스코와 한국유네스코의 평생교육
본문내용
1. 유네스코의 탄생배경
어떻게 탄생 되었나?
제2차 세계대전 중 1942년에서 1944년까지 연합국 교육장관들이 영국 런던에 모여 교육재건과 세계평화를 위한 국제기구를 창설하는데 동의하였다. 그 후 대전후 세계 많은 나라에서는 국민의 학습욕구가 한층 높아지게 되면서 1945년 11월16일 유네스코가 창설을 하게 되었다. 세계 각국은 대전 후의 혼란과 변화를 유네스코라는 이 국제기구의 교육을 통해 해결하려고 하였다.
2. 유네스코의 역할: 유엔의 전문기구로서 교육,과학,문화,정보 커뮤니케이션분야에 국제 협력을 촉진하여 세계평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3. 유네스코 기관
본부소재지 : 프랑스 파리
조직 – 총회 · 집행위원회 및 사무국
회원국 : 정회원 193개국, 준회원 12개국
4. 유네스코에서의 평생교육 개념
유네스코는 이미 창설당시 초창기의 사업, 즉 성인 기초교육운동이 중심이였디. 이후 1972년에 학습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평생교육 이념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자아실현”을 위한 교육으로 발전해 왔다.
5. 유네스코의 시대별 평생 교육 동향: “ 세계성인교육회의”
6. 유네스코 주요 세계성인교육회의 – 12년 마다 개회
① 제1차 1949년 덴마크 엘시노어
– 참가국 : 중국,타이,파키스탄(이상 아시아),이집트(아프리카),참가국의 2/3은 유럽, 25개국의 가맹국 대표 79명이 참석 (구 소련과 동구권국가는 참석하지 않음)
– 회의 주제 : 전후 부흥을 위한 성인교육의 역할, 타문화간 조화와 평화
– 과학, 기술교육과 직업교육에 대한 새로운 기대나 문해교육 등의 과제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다루지 못함
– 개인이 조화롭고 풍요로운 생활을 영위하고, 사회도 평화롭고 민주적인 방향으로 발전하는데 성인교육이 공헌해야 함을 강조
– 당시 도시화의 진전, 사회구조의 변화, 대중사회의 형성, 인간소외 현상 문제 대두되기 시작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