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패혈증 케이스 (기저귀 발진 + 감염)

목차

1. 간호정보
2. 고위험 신생아 신체사정
3. 치료
4.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5. 간호과정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정보 2927252
대상자는 2023-01-25 GA 39wks+3day로 C/S으로 출생하였으며, 출생체중은 3120gm이다. 조리원에 있다가 새벽부터 발열이 있어 본원 ER로 내원하였고, Fever max: 39℃임.
Fever 발생 전 general condition 양호하고, 배변 양상은 평소보다 무르고 자주 봄.
배꼽 주변이 조금 빨갛다고 하나 아직 제대가 떨어지지 않은 상태이고, 이전에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고 함. 필요시 abd sono 진행할 예정임. 체온조절을 위해서 옷을 벗겨놓고, 관찰을 용이하게하기 위해 보육기에 넣었지만, 온습도계는 꺼둔 채로 입원환경 조성함.

<중 략>

4.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sepsis, unspecified
혈류의 박테리아 감염으로 전신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이다. 신생아는 감염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패혈증의 초기 증상이 불분명하고 급속히 진행되어 예후가 나빠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임상증상이나 백혈구 수 등의 검사 소견만을 근거로 경험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하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이다.

<중 략>

④ 간호
감염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병원균의 전파경로를 알고 있으면 패혈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는 신생아를 보다 빨리 찾을 수 있다. 정맥 주입 시 정확한 용량의 항생제를 준비해야 하고, 장기간 항생제 투여는 비타민 K 합성을 막거나 칸디다균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감염이 다른 신생아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