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PACU 탈장(Incisional Hernia) Case Study (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

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대상 및 방법

Ⅱ. 본론
A. 문헌고찰
1. 정의 및 병태생리
2. 탈장의 원인 및 빈도와 종류
3. 탈장의 증상
4. 탈장의 진단
5. 치료 및 간호
6. 수술
7. 탈장 수술 전·후 간호
8. 합병증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연구의 필요성 : 탈장에 대한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질환에 대한 이론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병태생리와 원인, 종류, 진단, 치료 및 간호에 대해 학습하여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고 대상자의 임상증상을 사정하여 대상자의 문제에 중점을 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간호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중 략>

문헌고찰

정의 : 탈장이란 복막과 복강 내 장기가 복벽의 층- 복강의 근육층의 약해진 구멍이나 틈새를 통해서 빠져 나오는 현상이다. 탈장은 40세 이후의 남성에게서 호발 되지만 그렇다고 남성에게서만 생기는 질환이 아니라 모든 연령층의 남여에게 생길 수 있는 질환이다.

진단 : 진단은 대부분 병력청취와 신체검진, 즉 복압을 상승 시켰을 때(서있을 때, 기침, 배에 힘주기)서혜부 종물을 확인하는 것으로 확진할 수 있다. 하지만 신체검진으로 확실치 않는 경우는 초음파로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중 략>

간호수행
1. 10분마다 대상자의 언어적, 비언어적인 sign을 관찰하여 대상자 통증을 주기적으로 사정하였다.

2. 대상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통증이 도움이 됨을 교육을 관찰 하고 자세를 취하는 것을 도와드렸다.

3. 대상자가 이완할 수 있도록 심호흡을 교육하고 격려하였다.
(“환자분 지금 폐에 마취가스가 남아있고, 진통제의 부작용으로 울렁거림, 어지러움, 심하면 구토까지 하실 수 있기 때문에 심호흡을 잘 하셔야 합니다. 가슴이 올라갈 때 까지 코로 숨을 깊게 들이마시고, 입으로 후 하고 내뱉으시면 됩니다. 오늘 하루는 2~3시간정도 계속 깨있으시면서 심호흡 해주시면 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