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PACU 뇌동맥류(Cerebral aneurysm) Case Study (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

목차

Ⅰ. 서 론
A. 사례연구의 필요성
B. 연구대상 및 방법

Ⅱ. 본론
A. 문헌고찰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자료수집
2)자료분석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기록지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연구의 필요성 : 뇌동맥류란 뇌혈관의 내측을 이루고 있는 내탄력층과 중막이 손상되고 결손되면서 혈관벽이 부풀어올라 새로운 혈관 내 공간을 형성하는 경우를 말한다. 대부분 크기는 10mm 이하이며 파열성 뇌동맥류와 비파열성 뇌동맥류가 있다. 최근에는 무증상으로 우연히 발견된 뇌동맥류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 경우가 비파열성 뇌동맥류이다.

<중 략>

문헌고찰

뇌의 해부학적 구조 : 뇌와 척수를 통틀어 중추신경계라 부르며, 이 시스템은 우리 인체의 모든 기능을 관리한다. 뇌의 무게는 약 1,200 ~ 1,300그램이고 신경 세포와 조직으로 구성되었으며 세 가지 주요기관 대뇌, 소뇌, 뇌간으로 나눈다. 이것들은 각각의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고 함께 움직인다. 두개골인 뼈에 의해 보호 받으며 수막이라 불리는 얇은 막으로 덮여 있다.

<중 략>

∎ 수술 후 간호
① 활력징후 측정 관찰
-15분 간격으로 4회 측정 후 안정될 때까지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② 호흡기합병증 예방
-심호흡, 기침, 객담배출, 체위 변경 등을 시행하도록 격려하며 24시간동안은 2시간 간격으로 실시한다.
③ 순환기합병증 예방
-혈액순환 촉진, 혈전 색전증 예방을 위해 다리운동, 조기이상 격려한다.
④ 출혈증상 확인
-혈압하강, shock 증상, 헤모글로빈, hematocrit 감소 등의 검사소견 감시하며 수술부위의 출혈 여부 관찰한다. 배액관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배약량을 매일 확인한다.
⑤ 통증완화를 위한 간호
– 정기적으로 환자의 통증을 사정한다.
– 의사와 상의하여 필요시 진통제를 투여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