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브론펜브루너의 인간 환경
1) 나의 현재상황을 5가지 체계별로 설명
(1) 미시체계
(2) 중간체계
(3) 외 체계
(4) 거시체계
(5) 시간체계
2) 전반적인 자신의 환경해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Bronfenbrenner(1979)는 Barker의 이론을 확장시켰고 그의 환경체계는 생태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환경과 인간이라는 부분을 하나로 보지 않고 체계적인 부분으로 나누고 있다. 그는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아동의 발달을 체계화 하였고, 아동이 살고 있는 환경을 가장 직접적인 체계에서 넓게는 문화에 기초한 체계까지 다섯 체계를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 체계, 거시체계, 시간차원으로 나누고 있다. 각각의 체계들은 아동과 관련하여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상호작용해 나가고 있다.
첫 번째 미시체계는 아동이 현재 살고 있는 곳의 가족, 친구, 학교 등으로 이 체계의 부모, 친구, 교사는 아동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며 영향력을 주고 있다. 두 번째는 중간체계로 아동이 미시체계 속에서 성장할 때 특정한 시점에 상호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와 관계가 원만치 않으면 친구간의 관계 또한 원만치 않을 가능성이 많다는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