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육아휴직제도의 개념 및 의의와 필요성
2. 육아휴직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맞벌이 가구는 46%에 달하며 이는 1년 새 0.9% 가까이 증가한 수치이다. 현재 미혼 직장인의 결혼을 감안한다면 이후 이러한 수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자녀 양육에 있어서도 전통적 성 역할 인식이 변화하는 기로에 있다고 할 수 있고 이제 더 이상 남성, 여성을 구분하는 성 역할의 고정관념 속에서는 제대로 된 자녀 양육을 할 수 없는 환경이 되어가고 있다.
대부분의 젊은 세대 여성들은 일과 가정의 양립 속에서 균형을 유지하기를 원하지만 여전히 전통적 성 역할의 고정관념 속에서는 여성이 자녀 양육에 있어 과중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고 이로 인한 역할 갈등으로 인해 신혼 초에는 높았던 결혼 생활 만족도가 출산과 육아를 시작하며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자녀의 출생 및 양육으로 인한 부담감이 결혼생활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여러 문제들로 인해서 결혼을 하더라도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은 증가하고 있는데 2020년 통계에 의하면 여성 1인당 출산율은 0.84명으로 매 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일본 1.34명, 미국 1.64명 등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도 크게 뒤떨어진 수치임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