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현대인의 우울증 정의 및 양상
2. 현대인의 우울증 극복 방안
Ⅲ. 결론: 시사점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회원국 1위를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10대와 20대의 자살률과 알코올과 연관된 사망률도 크게 증가하는 등의 내용 또한 악화되고 있다. 자살은 한국인의 사망 원인 중 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통계는 질병 이외의 외부요인에 의한 사망 중 비중이 가장 크다는 것을 뜻한다. 이는 한국인이 심각한 수준의 정신적, 사회심리적 문제를 겪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비서구권 국가 중에서는 민주화와 산업화를 매우 짧은 시간 내에 동시에 달성한 거의 유일한 국가이며 경제성장과 민주화는 현대화의 기반이다. 현대화의 궁극적 목적은 국민의 행복 추구에 있음에도 이를 달성한 한국인이 불행한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은 아이러니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현재의 한국 사회는 부정적이고 다양한 사회현상이 다른 사회보다 심각한 수준으로 표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현대 한국인이 다른 일반 현대인보다 더욱 심각한 사회심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왜 한국인은 이러한 심리적 문제를 겪게 되었는가? 현대인은 돈과 인기, 직업과 외모, 권력, 지위, 소비와 명예, 학력 등 모든 물질적 부분에 대한 욕망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고 강박적 노력을 통해 이를 벗어나고자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대부분 성공하지 못한다. 현대인이 추구하는 것은 쉽게 획득하기도 또한 유지하기도 매우 어렵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