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의사소통 유형
1) 회유형
2) 비난형
3) 초이성형
4) 산만형
5) 일치형
2. 나의 의사소통 유형 분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티어는 임상사회사업가로 자신의 가족치료소에서 가족들을 치료하였고 정신의학 기관에서 가족의 역동성을 가르치면서 정신분열증 클라이언트 가족과 관련된 연구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사티어의 가족치료에서는 감정표현을 중요시 하면서 가족들이 서로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표현하고 어떻게 상호 간 반응하며 자신만의 고유한 의사소통과 행동방식 패턴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관심을 가졌다. 또한 먼저 내담자를 이해하고자 하는 태도와 내담자가 자신의 존재, 잠재력을 통찰하고 진정한 자신의 존재를 경험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의 궁극적 목적은 자아존중감을 증진하고 자기가치를 느낄 수 있으며 개인적으로 자기성장이 이루어지도록 돕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가장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가족들 간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존중감, 신뢰감 회복을 위한 체험과 교육을 중요시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