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최대 인구 대국
2. 공급망 재편
3. 제조업 육성책
II 인도 현황
1. 인도의 GDP
2. 쌍둥이 적자국 인도
3. 인도의 FDI
4. 인도의 물류
4.1 국가 물류 성과 지수 (LPI)
4.2 2022 글로벌 100대 컨테이너 항
4.3 2022 CPPI 컨테이너항 성과 지수
4.4 인도 주별 물류 경쟁력 순위
4.5 인도 컨테이너 항만 현황
4.6 인도 공항 현황
4.7 인도 창고 현황
4.8 인도 도로 현황
4.9 인도 철도 현황
5. 인도의 무역
III 결론
본문내용
“인도, 중국 성장률 따라잡았다“ “넥스트 차이나’ 인도를 주목하라”
현재 국제경제 상황을 반영한 최신 기사 제목 같지만, 10년 전 신문 지면을 수놓은 헤드라인입니다. 인도가 미•중 갈등을 등에 업고 바로 중국을 대체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잇따르는 지금처럼, 10년 전에도 인도가 중국을 곧 따라잡을 것이라는 낙관론의 목소리가 컸습니다.
그런 인도는 금방이라도 중국을 넘어설 것 같았지만, 아직은 저렴한 가격에 적정 품질 제품을 대량생산하는 능력에서 인도는 아직 중국의 상대가 되지 않는다는 의견들이 있습니다.
본 보고서의 서론에서는 인도가 중국을 대체할 수 있으리라는 근거가 되는 ①최대 인구 대국, ②글로벌 공급망 재편, ③인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책을 알아보고, 본론에서는 인도의 현황을 ①GDP, ②재정•무역 수지, ③물류 및 ④무역 등의 관점에서 조사한 결과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 중 략 >
본 보고서에서는 한 국가의 경쟁력의 근간이 되는 물류 관점에서 인도의 현황을 주로 살펴보았습니다.
인도는 글로벌 물류성과지수 (LPI)는 리투아니아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인도의 컨테이너 취급량은 100대 컨테이너 물량 기준 1.8% 규모(중국 컨테이너 물량의 4.5% 수준)입니다. 인도 정부는 유럽과 아시아를 연결하는 허브 공항을 추진하고 있으나, 환적 화물이 거의 없는 상황이며 구체적인 화물 유치 방안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인도에서 도로 운송은 전체 화물 운송의 약 60%를 점유하고 있으며, 매년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전체 운송량의 31%를 점유하고 있는 철도는 장거리 화물 운송에 있어 가장 저렴하나, 투자 부족으로 철도 화물 운송의 비중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습니다. 운송 모드에서 항공운송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운송의 1% 미만입니다. 7,517km에 달하는 광활한 해안선에 12개 주요 항만과 168개 중소형 항구를 가지고 있는 인도에서 수로가 차지하는 비중은 8% 정도입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