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조사자료의 처리 – 편집

목차

1. [사회복지조사론] 조사자료의 처리 – 편집
1) 편집의 전략
2) 편집 요령서
3) 누락 정보의 편집

본문내용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자료가 수집되면 이러한 자료를 조사목적에 따라 정리하고 분석해야 한다. 자료수집 과정을 거쳐 수집된 자료를 정 리 ․ 분석 ․ 처리하는 것이야말로 조사연구의 실제적인 시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서 자료처리(data processing)란 원초자료(source data)로부터 분석에 이용될 수 있는 자료를 처리하고 통계표를 작성하는 전 과정을 의미하며, 분석(analysis)이란 가설이나 이론에 비추어 자료를 검사하고 이론 형성에 용이하도록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다.
자료처리 및 분석은 다른 단계의 조사과정과 밀접하게 상호 관련되어 있으며 편집(editing), 부호화(coding), 입력(entering), 분류 및 제표(tabling), 분석 및 해석(analysis)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편집(editing)은 자료처리의 1단계로서, 수집된 자료를 점검하여 기호나 누락된 것을 시정하는 것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인 편집의 목적은 연구에서 사용되는 개념 이 어느 정도 정확하고 일관성 있게 적용되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조사에서 발생한 체계적 오차와 불일치의 원천은 무엇이 며,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여 오차를 시 정한다. 그리고 부호화를 위해 자료가 분명하고, 일관되며, 간단하도록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