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귀납주의
2) 연역주의
본문내용
전통적으로 과학적 방법론으로 논의되었던 내용에 대해 영국의 경험론에서 나타난 귀납주의와 대륙에서 발전한 합리론에 기반을 둔 연역주의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경험론과 합리론은 인간의 이성과 감각경험을 통해 확실한 지식의 기반을 확보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험론과 합리론은 상반된 주장을 펼치게 되지만 귀납주의와 연역주의는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월러스(Wallace, 1971)는 The Logic of Science in Sociology에서 귀납주의와 연역주의를 연결시켜 과학적 방법론의 원리와 과정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1) 귀납주의
귀납주의(inductionism)는 영국의 경험론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영국에서 발전한 경험론은 중세 형이상학적 성격의 철학과 성서를 과학적 지식의 근원으로 여기는 태도에 반발하였으며, 르네상스를 통하여 형성된 합리적 ㆍ 이성적 사상이 사실에 근거한 경험과 이론으로 형이상학적 세계를 극복하고자 한 시도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