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코로나19로 인한 교육격차 현황과 원인
1. 코로나19 시대의 교육격차 실태
2. 코로나19 시대의 교육격차 심화 요인
Ⅲ. 코로나19로 인한 교육격차의 개선 방향
Ⅳ. 결론
본문내용
2020년 1월 20일 국내에 첫 코로나 확진자가 나온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여러 코로나 대응 대책이 마련되면서 비대면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런 전무후무한 사태로 인해 우리 사회는 혼란에 빠져 우왕자왕하였고 교육도 예외는 아니였다. “교육부는 학생의 안전을 보호하면서 학습 공백을 방지하기 위해 온라인 개학을 실시하기로 결정하였고”(교육부 보도자료, 2020년 3월 31일자), “그에 따라 대부분의 교사들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온라인 수업 경험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전면적인 비대면 수업을 시작하게 되었다”(권연하‧박세진‧이현숙, 2021: 625) 후에 확진자 추세와 여러 대책에 따라서 원격 수업과 대면 수업이 병행되었으며 현재까지도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학교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문제는 비대면 수업 장기화에 따른 여러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그중 주목해야 할 문제점은 교육격차이다.
“교육격차의 개념은 교육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의 차이에서 오는 격차, 실제 교육활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조건과 학습 과정에서의 격차, 교육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의 격차를 포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한국교육신문, 2015년 11월 1일자) “교육격차는 지역, 사회계층, 학교의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박미희, 2020: 117)
“교육계에서 교육격차의 문제는 코로나 사태 이전에도 지속적으로 논의되어 왔으며, 이러한 격차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공교육의 역할과 효과에 대해서 강조한 연구들도 꾸준히 진행되어왔다”(권연하·박세진·이현숙, 2021: 626) “방과 후 학교 참여, 교사와 학생의 관계, 교사의 학생에 대한 기대 수준, 학생 중심 수업과 같은 학교의 내적 요인들은 학교 간 교육격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박미희, 2020: 115)
“그런데, 코로나19는 교육격차 감소에 긍정적인 역할을 해왔던 학교의 교육적 기능이 작동하지 못하도록 강제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