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강북구 보건소 간호과정-자살률

목차

1. 지역사회 사정
1) 지역사회를 단위로 하여 간호문제를 사정

2. 지역사회 진단
1) 지역사회 건강문제를 진단
2) 지역사회 간호기준과 업무지침 확인
3) 지역사회 건강문제 우선순위 설정
4) 우선순위 건강문제 논리모형

3. 지역사회 간호계획
1) 목표 설정
2) 방법이나 수단의 선택
3) 수행 계획

4. 지역 사회 간호 수행

5. 지역 사회 간호 평가

본문내용

1. 지역사회 사정
1) 지역사회를 단위로 하여 간호문제를 사정
① 지리적 특성
– 서울특별시 동북단에 위치, 면적 23.60㎢ , 공원 녹지 지역 면적14.338㎢ (구 전체면적 60.8%)
– 법률 제4802호(94.12.22)로 도봉구에서 강북구가 분구됨
– 구의 동쪽은 노원구, 도봉구와 접하며 서쪽은 경기도 고양시, 남쪽은 성북구와 접하고 북쪽은 경기도 양주시, 도봉구와 접하고 있음
– 13개의 행정동 (삼양동, 미아동, 송중동, 송천동, 삼각산동, 번1∼번3동, 수유1∼3동, 우이동, 인수동)을 두고 있음
– 상징물로 구 꽃은 진달래, 구 나무는 소나무, 구새는 까치가 있음
– 하절기에 강수량이 많고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몬순 기후
– 가구 수 총 97452호
– 사업체 구분을 보면 총 사업체 19014개소 중 도매 및 소매업이 20.11%, 숙박 및 음식점 업이 19.87%, 운수업이 16.35%, 제조업이 7.66%, 보건 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가 4.29%임
– 총 종사자 수는 서비스업 종사가 66.84%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

② 인구학적 특성
– 총 인구수는 290155명
– 남: 140589명, 여: 149566명으로 성비는 94.00
–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6%로 서울시 자치구 중 1번째로 가장 높은 비율 차지함
– 합계출산율 0.550명으로 감소세이며 서울시 자치구 중 최하위임
– 0~14세 인구는 전국 평균보다 현저히 낮음
– 기초 생활 수급자 비율은 6.4%로 서울시에 비해 2.6% 높은 수준임
– 2020년 조출생률 3.4명으로 전국 5.3명보다 낮고, 서울시 자치구 중 가장 낮음
– 강북구 노년 부양비: 31.7, 노령화 지수: 297.2 로 서울시 노년 부양비: 23.6, 노령화 지수: 180.7에 비해 높은 편임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