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보건] 코로나19 정책/코로나19 국가별 대응 방식/대한민국,독일,영국,미국,대만

목차

A. 대한민국
초기 대응 방식
방역체계
국가 대응
대응 유형

B. 독일, 영국, 미국
① 독일
초기 대응 방식
방역체계
국가 대응
대응 유형
② 영국
초기 대응 방식
방역체계
국가 대응
대응 유형
③ 미국
초기 대응 방식
방역체계
국가 대응
대응 유형
C. 대만
초기 대응 방식
방역체계
국가 대응
대응 유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A. 대한민국

구분
주요내용
초기 대응 방식
⦁검사 능력(testing capacity)을 적극적으로 확대 적용(검사 능력(testing capacity)을 적극적으로 확대 적용)
⦁해외 입국자, 확진자, 접촉자에 대한 격리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5월부터 한국 입국자에 대해 COVID-19 검사 및 14일 격리기간을 의무화)
⦁확진자 및 접촉자를 대상으로 한 조치 및 서비스가 정부당국에 대한 신뢰 형성(2월 22일 첫 사망자 발생 후 다음 날부터 감염병 위기 경보를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상향. 지역 환자에게 텔레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학교 및 공공장소를 폐쇄하였고 대규모 집단 감염이 우려되는 초‧중‧고 개학을 연기)
방역체계
⦁코로나19 발병 후 질병관리청 산하 기관으로 중앙방역대책본부가 설치되어 방역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수행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는 단체장이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구성, 감염병 전담 병원 및 병상을 확보하고 수용범위를 넘어서면 중앙에서 자원을 지원
⦁중앙과 지방의 협력과 지원이 원활히 수행되고 공중보건의 활용 및 민관 네트워크를 통한 민간 의료‧보건 인력의 지원 등이 여타의 의료 체계적 제한을 넘어서 초기 대응에 성공
국가 대응
⦁2.22일 첫 사망자 발생 후 다음 날부터 감염병 위기 경보를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상향했다. 지역 환자에게 텔레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고, 학교 및 공공장소를 폐쇄하였고 대규모 집단 감염이 우려되는 초‧중‧고 개학을 연기
⦁.22일부터 유럽발 모든 입국자에 대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진행하여 유증상자는 공항 격리시설에서 대기
⦁월 말 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 대책위원장이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을 제안 및 적극 수용
-(중략)-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