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실습 A+] 치매 예방 보건교육 보고서, 수영구 보건소

목차

Ⅰ. 서론
1. 치매 조기발견⦁조기치료의 중요성
2. 노인인구 대비 치매 상병자⦁추정치매환자 현황
3. 치매 예방 교육의 중요성

Ⅱ. 본론
1. 문제탐색(문제확인)
1) 치매 유사증상 사람 수
2) 치매의 정의, 증상, 위험인자, 종류
3) 치매와 건망증 차이
2. 문제탐색(활동안내 및 활동 내용)
1) 치매 예방 333 교육안내
2) 치매 예방 운동법
3. 문제해결
1) 보건소의 치매조기검진 사업
2) 보건소 치매 안심센터 치매예방교실
4. 적용발전(요약정리 평가)
1) 치매관련 OX퀴즈
2) 적절한 치매 예방법

Ⅲ. 결론
1. 평가계획
2. 목표설정의 합리성 평가
3. 개선사항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치매 조기발견⦁조기치료의 중요성
알츠하이머 치매는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15~20년 전부터 이미 뇌 병리 현상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 치매와 같은 퇴행성 치매의 이와 같은 특성은 진단뿐만 아니라 예방, 조기발견, 조기치료에 의미하는 바가 크다.
우선 진단적 측면에서는 혈액검사, 뇌 영상 검사 등의 기법을 통해 치매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치매를 유발하는 뇌 병리 현상을 탐색해 냄으로써 치매의 조기 진단 또는 발병 전 진단을 가능하게 만든다. 치료와 예방적 측면에서는 치매의 증상을 완화하거나 진행을 억제하는 보존적 수준의 약물로도 치매 치료 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치매 위험 인자에 대한 보다 철저한 관리를 통해 치매 증상의 발현 시점을 최대한 지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조기발견, 조기치료를 통해 치매의 발병을 2년 정도 지연시킬 경우, 발병을 늦추지 못하는 경우보다 40년 후에는 치매 유병률이 80% 수준으로 낮아지게 되며, 치매 환자의 평균 중증도 또한 감소하게 된다. 치매 어르신 100명 중 5~10명은 완치될 수 있고 큰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체계적 치료와 관리로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고, 병의 악화로 인한 다양한 문제를 미리 대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매 유병률과 치매 환자 평균 중증도의 경감은 환자와 가족의 삶의 질 향상뿐만 아니라 막대한 사회 경제적 비용 절감으로 이어지게 된다. 중증 치매 환자의 1인당 의료 비용은 경도 치매 환자의 1인당 의료 비용의 약 8배에 이르며, 전체 치매 관련 의료비의 25% 이상이 중증 치매 환자에게 투여되고 있기에 치매의 조기발견 및 조기 치료는 중요하다.

2. 노인인구 대비 치매 상병자⦁추정치매환자 현황
2020년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8,134,675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 중 15.8%를 차지하며, 2030년 24.5%, 2050년 38.1%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