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진단번호
간호진단
#1
선천적 심장 구조 이상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2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3
부적절한 영양소 섭취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4
근긴장 감소와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
진단번호
생명위협정도
매슬로우
실재적/잠재적 문제
선호도
#1
높음
생리적
실재적
높음
#2
높음
생리적
실재적
높음
#3
중간
생리적
실재적
중간
#4
낮음
생리적
실재적
중간
호흡의 이상은 단기간에도 치명적인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1순위로 선정하였다.
SPO2, CRP, 대상자의 체중 및 키, 약물 용량. 대상자 19개월인거 감안해야함
CRP 올리는 근거
: 다운증후군 환아는 면역 저하로 인해 잦은 상기도감염을 유발하여 다양한 감염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사례에서 38도 이상의 발열, 백혈구 수치의 비정상적 증가, 진통제 및 항생제의 복용력을 보아 감염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감염지표인 CRP를 0.6에서 감염으로써 유의미한 수치인 3.5로 수정하였다.
대상자의 신장 및 체중을 설정한 근거
: 다운증후군 환아의 경우 근 허약으로 인한 신체 활동력 저하, 면역 저하 및 갑상선저하증을 동반하여 성장 부전을 유발한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제시된 19개월 유아의 중앙값인 신장 83cm, 체중 10.4kg을 관련 자료로 활용하였다. 성장지연의 경계값은 정상치 대비 2% 정도이므로, 이를 환산하여 신장 75cm, 체중 7.5kg로 설정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