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사례 질병 연구
B. 간호과정 적용
1. 간호 사정
2. 간호과정(간호 진단은 우선순위에 따라 최소 2개 이상)
3. 실습환자와의 전이와 역전이 경험
본문내용
A. 사례 질병 연구
– 주요 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 원인
① 생물학적 요인
1) 유전학적 원인
– 일부 연구에서 우울증을 가진 가족 내에서 우울증이 더 잘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일란성 쌍생아 중 한 명이 우울장애일 때 다른 한 명도 우울장애일 가능성은 50%, 이란성 쌍생아 중 한 명이 우울장애일 때는 10~20%이다.
2) 생화학적 원인
– 세로토닌, 아세틸콜린, 카테콜아민, 도파민, 에피네프린 등의 조절 이상과 관련이 있으며 신경 수용체 막의 변화와도 관계가 있다.
–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피질 축의 활성도 증가로 인한 코티솔 분비의 증가는 우울증에서 가장 일관되게 보고되는 결과 중의 하나로 코티솔 분비 증가는 시상하부에 CRH의 분비 증가에 기인하고, 이는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등 신경전달물질의 이상과 관련이 있다.
<중 략>
(2) 사회적 영역
① 대인 관계 및 적응 수준
: 병동의 어린 여자아이들과 같이 과자를 나눠 먹거나 화투를 치는 등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② 역할수행(가정에서, 학교나 직장, 기타 소속되어 있는 단체에서)
: 자신이 초졸 후 돈을 벌어 동생들이 대학교까지 가게 한 것에 자부심이 있음, 자신의 가정에서 가장으로써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우울감이 있음
③ 환자의 지지체계 ( 가족, 직장, 친구…… )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