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c/sec) case study/임신성고혈압(PIH),전자간증(preeclampsia)/간호진단3개/간호과정3개/제왕절개 케이스/임신성고혈압 케이스/전자간증 케이스

목차

Ⅰ. 서론
A. 간호사례 선정 이유
B.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Ⅱ. 문헌고찰
A. 원인
B. 병태생리
C. 진단방법
D. 증상
E. 치료 및 간호

Ⅲ. 간호사례
A. 간호력
B. 신체검진
C. 진단검사 및 자료
D. 투약
E. 병의 경과(Progress of disease)
F.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A. 간호사례 대상자에게 간호과정 적용하면서 느낀 점
B. 여성건강간호학 실습 소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A. 간호사례 선정이유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이란 복부 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 수술기술의 발달과 무균조작법, 항생제의 발달로 제왕절개로 인한 모아 사망률이 더 이상 심각한 문제가 아니지만 질분만에 비하여 모아에게 미치는 위험률은 2배 이상이다.
2019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초·경산별 분만 심사실적’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제왕절개 분만 건수는 15만 2,046건으로, 자연분만 14만 8,725건에 비해 더 많다. 이는 WHO 권고 수준보다 높은데, 이렇게 높은 원인은 반복된 제왕절개 수술 증가와 35세 이상 고령출산의 비율이 높음을 들 수 있다. 앞으로 35세 이상의 초산부 증가에 따라 제왕절개 분만율도 증가할 것이고, 이와 관련된 간호사의 지식요구도 또한 점차 더 필요할 것이기 때문에 해당 사례를 선정하게 되었다.

B. 대상자 질환에 간단히 기술
대상자는 임신 15~16주부터 간헐적으로 혈압 높다는 말 듣고 있던 분으로 headache(두통), blurred vision(시야 곤란), pitting edema(요흔성 부종)가 나타나 LMC 경유하여 단백뇨 3(+), BP 160/100mmHg로 혈압약을 처방받고 큰 병원을 권유받아 외래 통해 입원하셨다. 이후 임신성 고혈압(PIH), 전자간증(preeclampsia)을 진단받고 치료하던 중 혈압이 조절되지 않고 증상이 지속되어 11월 5일 오후 16시에 응급 제왕절개 분만을 하셨다. 대상자의 중증 전자간증(SBP: 160mmHg 이상 and 단백뇨 3+)은 제왕절개술의 5대 적응증 중 하나이다.

임신성 고혈압(PIH)
정상 혈압을 가진 여성이 임신 20주 이후 혈압이 140/90mmHg 이상 나타남

전자간증 (preeclampsia)
경증(mild-): BP 140/90mmHg 이상, 단백뇨, 부종
중증(severe-): 수축기압(SBP) 160mmHg 이상, 단백뇨 3+ 이상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