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천광역시 남동구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
1) 인천 한누리 학교
2) 인천이주여성센터 ‘살러온’
2. 인천 다문화 관련 전문가
1) 이주여성 인권 보호 전문가
2) 학교 전문가
3) 통번역 전문가
3. 문화간호환경의 변화
1) 방문건강관리 사업
2) 대한간호협회, ‘남북한 간호용어’ 발간
Ⅲ. 결론 – 발전과제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대한민국은 과거 우리 자신을 단일민족국가라고 부르던 때가 있었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 체류 외국인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 기준 체류 외국인은 2,367,607명으로 오늘날 대한민국은 작은 지구촌이라고 불리고 있다. 외국인·이민자 증가에 발맞춰 전국 지역별로 한국어 교육 등 다양한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그중에 필자가 살고 있는 지역인 인천광역시 남동구가 시행하고 있는 독특하고 특색있는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그에 대한 전문가를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외국인 증가에 따라 보건의료 분야에 있어서도 문화 역량을 갖춘 의료진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그들에게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교육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 간호계에 있어서도 대학교에서 다문화 간호에 관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문화 역량을 갖춘 간호사를 육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문화간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문화간호환경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현재 문화간호환경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모색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인천광역시 남동구 다문화 관련 프로그램
1) 학교 속 지구촌, ‘인천 한누리 학교’
인천 한누리학교는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에 위치한 초·중·고 통합 기숙형 공립 다문화 대안학교로, 외국인 가정 자녀, 국제결혼가정 자녀, 난민 등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학교이다. 2019년 4월 5일 기준, 21개국의 다양한 문화를 가진 114명의 학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문화 가정의 많은 아이들이 언어 문제와 한국 사회 부적응 그리고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에 의해서 일반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