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적장애
1) 정의
2) 특성
(1) 행동적
(2) 사회·정서적
(3) 의사소통적
3) 중재방안
(1) 행동적
(2) 사회·정서적
(3) 의사소통적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적장애아동은 학습, 심리, 대인관계 등에서 또래의 일반아동과는 다른 발달 양상을 보인다. 특히 주의를 집중하는 시간이 비교적 짧고 쉽게 산만해지는 모습으로 인해 학습장면에서 연속적인 지시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곽은정, 신진숙, 2011). 지적장애는 전반적으로 지적능력의 저하와 사회적 적응능력의 부족함으로 환경에 적응하거나 대처하는 것이 어려움을 보인다(김보희, 2012). 그래서 한 구성원으로 독립적으로 살아가도록 특수교육에서 간단한 자조기술이나 스스로 음식조리, 대중교통 이용하기, 마트나 편의점 이용하기 등을 배워나가고 있다. 장애아동들의 독립성을 키워주면서 자신감을 심어주기 위함이디.
그렇지만 상당수의 지적아동들은 기능적 기술을 충분히 습득하지 못한 체 정규학교교육을 마치는 실정이라고 한다. 장애학생이 오랫동안 특수교육을 받았음에도 졸업한 후의 성인기 삶을 의존적이고 고립적으로 살아갈 개연성이 높아진다(김진호, 2020; 박희찬, 2013). 따라서 체계적인 기능적 기술이 지속적으로 연계되어 장애아동들을 가르쳐야 한다.
지적장애에 해당되는 유아를 대상으로 행동적, 사회·정서적, 의사소통적 특성과 중재방안에 대해 자세히 논하여 보도록 하겠다.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