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면역이란?
A. 면역의 정의
B. 선천면역과 후천면역
C. 항원
2. 면역담당세포
A. 면역담당기관
B. 림프구(세포성 면역)
C. 단핵구, 대식세포
D. 가지세포
E. 과립형 백혈구
본문내용
A. 면역의 정의
– 면역(immunity) : 한번 감염병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병에 다시 걸리지 않는 현상
– 감염방어면역(병원미생물로부터 생체를 지키는 작용), 종양면역(종양을 제거하는 작용), 기타 알레르기질환, 자가면역질환, 이식의료에 면역이 깊이 관여하고 있음.
– 현재의 면역 개념 -> 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해서 외부에서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
– 면역방응 : 항원의 인지단계, 항원을 제거하는 단계
<중 략>
B. 선천면역과 후천면역
① 선천면역(innate immunity) : 비특이적 방어기전
– 감염이 일어나면 단시간에 발동하여 병원체를 제거하는 면역기전
– 주요기능 : 항균펩티드, 보체, 렉틴에 의한 병원체 제거
탐식세포의 옵소닌화
활성화 탐식세포(호중구, 대식세포)의 탐식과 살균
– 고등생물의 경우는 선천면역이 후천면역을 유도
대식세포, 가지세포의 막표면에 TLR(toll-like receptor) 존재 -> 병원체 인식과 동시에 신호전달
②후천면역(acquired immunity) : 특이적 방어기전
– 미생물 감염으로 얻어지는 면역
– 즉, 획득면역으로 다시 수동면역과 능동면역으로 구분됨
C. 항원
– 항원(antigen) :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물질
– 주로 단백질, 다당체, 지질, 핵산 등 세균의 세포벽이나 바이러스 외피, 캡시드 성분
– 완전항원 : 면역원성을 가진 항원 (단백질, 다당체)
– 불완전항원 : 합텐(hapten)이라 하며 담체(carrier, 단백질 성분)와 결합 시 면역원성을 갖는 항원(지질, 핵산)
– 체액성면역(humoral immunity) : B-세포
– 세포성면역(cellular immunity) : T-세포
1) 면역계의 특징
① 특이성과 다양성 : 특정 이물질에 대해 반응하는 세포는 다른 이물질에 대해서는 반응하지 않음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