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실습/급성 위장염(Acute gastroenteritis) 케이스, 간호과정

목차

1. 일반적 사항
2. 건강력
3. 신체 사정 ( Physical assessment )
4. 진단 검사
5. 경구, 비경구 투약과 정맥 주입
6. 인수인계 (중요도 ★☆☆☆☆)
7. 간호과정 적용 (중요도 ★★★★★)

본문내용

-정의 : 바이러스. 박테리아 또는 기생충 등이 원인이 되어 위장계통에 생긴 염증으로서 설사가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추정되거나 확진되면 감염성 위장관염이나 세균성 위장관염이라고 한다.
-원인 : 최근에 여러 가지 세균성, 바이러스성 원인이 규명됨으로써, 감염성  위장염의 80% 이상에서 원인균이 확인되었다. 특히 흔한 원인으로는 enterotoxigenic E. coli(ETEC)와 Rota virus감염을 들 수 있다.
-빈도 : 아동에서 감염성 위장관염은 상기도 감염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병이다.
-기전
1) 수분과 전해질 분비를 자극하는 장독소(장내에 수분과 전해질의 유출을 일으키는 세균 유래물질)의 생 산
2) 장 상피세포에 직접 침입 및 파괴
3) 병원체에 의한 전신감염과 국소 염증 등
-원인균의 전파경로
1) 대변-경구 통로 – 대부분이 해당.
2)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한 전염 – 많은 양의 유기체나 접종원이 필요하다.
-진단 및 검사
1) 병력: 가족, 직장 혹은 어떤 집단에서 동시에 급한 설사가 일어나면 전염성 내지 독소에 연유한 것
특정 음식이나 물을 먹은 후 급성설사가 발생했다면, 먹은 시간과 증상이 나타난 시간과의 간격을 따져보아, 그 간격이 14시간 이내면 식중독 일 가능성이 높고, 14시간 이상이면 세균성 설사의 가능성이 높다.
2) CBC, 전해질 검사 : 체액량이 감소되어 헤마토크릿치가 상승, BUN수치가 상승, 신 순환이 감소
3) 대변검사 : PH, 혈액, 세균침입 등 조사함.
-임상증상
1) 설사 2) 복통 3) 구토 4) 발열 5) 탈수 6) 전해질 불균형
-치료
증상이 심하면 위장관계를 쉬게 하고 체액을 보충한다. 구토가 멈출 때까지 금식한다. 0.45% NaCl(저장액)을 주입하고 필요시 칼륨을 보충한다. 소량의 미음에서 시작하여 24시간 후 차츰 음식을 제공한다.
-간호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