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 진단명
2) 의의
3) 원인
2. 본론 (문헌고찰)
1) 병태생리
2) 진단
3) 치료
3. 결론
1) 간호문제
2) 간호계획
3) 간호중재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진단명 : Pneumonia 폐렴
2. 의의
폐렴 : 세균 또는 바이러스로 인해 세기관지 아래 폐조직에 염증이 나타나는 감염성 질환
● 폐렴의 분류
1) 유행성 폐렴 (지역사회 획득 폐렴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 CAP)
– 지역사회에서 감염되거나 입원한 지 48시간 이전에 발생하는 폐렴
– 겨울철에 빈번하게 발생
– 위험요인 : 흡연, 흔한 원인균 : 폐렴구균
– 65세 이상, 알코올 중독, 면역장애 등이 있을 때 쉽게 이환됨
2) 병원감염성 폐렴 (hospital acquried pneumonia : HAP)
– 병원에 입원한 후 48시간이 지나고 발생하는 폐렴
– 위험요인 : 기계적 환기 하는 환자
– 주된 원인균 : 녹농균, 황색포도상구균, enterobacter, 폐렴구균 등
– 면역억제 요법, 기관내 삽관, 전신쇠약, 호흡기 치료기구의 오염 등으로 인해 악화
3) 진균성 폐렴
– 위험요인 : 낭포성 섬유증, 후천성 면역결핍, 면역억제제 투여하는 중환자에서 흔히 발생
– 증상 : 세균성 폐렴과 비슷
– 주된 원인균 : aspergillosis, candiasis 등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