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족구성요소
2) 환경요소
3) 가족의 구조요소
4) 가족의 과정요소
5) 가족의 대처기능
6) 가족의 건강행위
[ 대상자가족 가족사정 자료분석 ]
[ 가족간호사정 결과 확인된 가족간호 요구 ]
[ 대상자 가족간호계획 ]
본문내용
2) 환경요소
□ 이웃특성 : 같은 빌라 주민
□ 가옥형태 : 빌라
□ 가옥환경 : 계단이 많고, 엘리베이터가 없음.
□ 사고위험 : 유 (계단낙상위험)
3) 가족의 구조요소
□ 역할분담 : 부적절 (평소에는 오지 못하고 휴일에만 방문함)
□ 권위와 권력의 소유자 : 본인
□ 역할분담에 대한 만족도 : 보통
4) 가족의 과정요소
□ 가족구성원의 참여 정도 (딸 3명) : 가족구성원의 참여·관심 보통
□ 최종의사결정자 : 본인
□ 가족 이외의 이용하는 인적자원 : 보건소 방문간호사, 이웃
□ 만족도 : 보통
□ 주로 이루어지는 시간 : 휴일
□ 지난 한달 동안 가족구성원 간의 의견 충돌 : 무
□ 반상회 참석 정도 : – 회/년
5) 가족의 대처기능
□ 최근 6개월 이내(또는 이후)에 일상생활을 변화시키는 사건 : 무
□ 해결 : 스스로
□ 친척과 만나는 빈도 : 일년에 한 두 번
6) 가족의 건강행위
□ 수면 : 규칙/충분, 식사 : 규칙
□ 가장 신뢰하는 지식원 : TV, 방문간호사
□ 지난 3개월 동안의 건강증진 또는 질병예방을 위한 건강행위
: 예방접종(코로나, 독감, 폐렴구균 등) 적절히 접종.
□ 주로 행하는 보건의료행위 : 없음.
□ 건강문제가 있는 가족구성원에 대한 가족들의 관심 : 무
□ 전문의료인의 도움 : 필요
□ 돌봄에 대한 지식 및 정보원 : 보건소 방문간호사
[특기사항 및 기타]
– 무릎이 많이 안좋으셔서 현관에서 방 침대로 들어와 앉는 시간조차 오래 걸림.
– 건강문제에 관심과 문제의식이 없고, 모든 것이 괜찮다고 하심.
– 건강검진도 필요없다고 말씀하시며 건강관리에 소홀하고, 자기돌봄이 결핌됨.
– 방문간호사 선생님께서 인지저하 의심으로 치매검사 시행 권면함.
– 가옥에 약간의 악취가 나는 것을 볼 때 자기위생결핍이 의심됨.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