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폭염의 정의
2. 폭염 추이
Ⅱ. 본론
1. 폭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2. 폭염에 취약한 계층
3. 폭염 등 재난에 대한 관리 체계 (대구광역시)
Ⅲ. 결론
1. 폭염발생 시, 행동요령
2. 탐구
3.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폭염의 정의
1) 폭염(暴炎, heatwave, extreme heat)은 비정상적인 고온 현상이 수일에서 수십 일간 지속되며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가져오는 자연재해이다. 폭염의 기준은 국가별로 다른데, 우리나라 기상청의 폭염 특보 기준은 일 최고 기온이 섭씨 33℃ 이상인 날이 이틀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면 폭염주의보를, 35℃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면 폭염 경보를 각각 발령한다. 기준이 되는 기온 및 지속기간이 국가별로 조금씩 다른 것은 폭염이 단순한 날씨 현상을 넘어서 인체, 생태계, 사회경제 시스템에 미치는 고유한 영향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한편, 열대야(tropical night)는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무더운 밤을 지칭하는 말로 농촌보다는 도시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며, 이는 건물, 공장에서 발생하는 열과 포장된 도로의 복사열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기상청 기상특보 발표 기준(※ 체감온도 기반 폭염 특보 시범운영(2020.5.15.))
– 체감온도: 기온에 습도, 바람 등의 영향이 더해져 사람이 느끼는 더위나 추위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온도- 습도 10% 증가 시마다 체감온도 1℃가량 증가하는 특징
1.1. 주의보: 일 최고 기온이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폭염으로 인하여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일 최고 체감온도 33℃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② 급격한 체감온도 상승 또는 폭염 장기화 등으로 중대한 피해 발생이 예상될 때
1.2. 경보: 일 최고 기온이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 폭염으로 인하여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① 일 최고 체감온도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② 급격한 체감온도 상승 또는 폭염 장기화 등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발생이 예상될 때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