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케이스_아데노이드 증식증

목차

없음

본문내용

번호
간호문제-간호진단
발생일
1 수술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 대상자는 수술 후 통증을 호소하며 진통제를 요구하고 NRS 점수 6점을 기록하였음.

2 부종과 관련된 연하장애
▶ 대상자는 수술 후 목에 거즈가 걸린 것 같음을 표현하며 음식을 삼키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이 보이고, synatura syrup이 처방됨.

3 치료과정과 관련된 지식 부족
▶ 대상자와 보호자는 수술 경험이 전무하며, 수술과 관련되서 빈번히 질문하는 모습이 관찰됨. 특히, 수술 후 조기 이상 및 심호흡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함.

c. 간호과정(우선순위 선정할 것)

Nursing Dx.
#1. 수술 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Assessment
Subjective Data
“ 목 아파요 ”
“ 진통제 좀 주세요 ”
Objective Data
· NRS 통증 검사 결과

통증빈도
통증기간
통증양상
통증부위
통증강도

· 얼굴 통증 척도 검사 결과
Goals
Short term goals
· 대상자는 1일 이내 NRS 점수가 3점 이하로 감소한다.
· 대상자는 1일 이내 얼굴 통증 척도 점수가 4점 이하로 감소한다.
Long term goals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NRS 점수가 0점 이하로 감소한다.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얼굴 통증 척도 점수가 0점 이하로 감소한다.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보호자와 함께 교육 받은 통증 관리법 1가지 이상을 실천한다.

Nursing Intervention Plan
[관찰]
① 통증 사정 척도(NRS)를 이용하여 수술 부위 통증 양상을 사정한다.
② 얼굴 통증 척도를 이용하여 수술 부위 통증 양상을 사정한다.
② 약물(진통제)의 효과 및 대상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③ 수술 후 4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 및 관찰한다.

[치료/예방]
①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한다.
② 냉요법을 적용한다.
③ 부드럽고 차가운 음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④ 전환요법을 수행한다.

[건강증진]
① 통증의 원인 및 수술 후 통증 관리법을 교육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