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I. 분만의 5요소
1. 태아
① 태아머리
ⓐ 봉합 : 두개골 만나는 부위 점막성 봉합, 골화
ㄱ. 관상봉합
: Frontal bone(1) + Parietal bone(2)
ㄴ. 시상봉합
: Parietal bone(2)
ㄷ. 시옷/후두봉합
: Occipital bone(1) + Parietal bone(2)
cf. 주형 : 산도에 적응, 두개골 겹쳐짐
ⓑ 천문
ㄱ. 대천문
– 관상+시상봉합
– 다이아몬드, 생후 18개월 닫힘
ㄴ. 소천문
– 시상+시옷봉합
– 삼각형, 생후 6~8주 닫힘
ⓒ 아두의 주요 경선
ㄱ. 소사경선 : 대천문~후두융기(9.5cm)
ㄴ. 대사경선 : 소천문~턱(13.5cm)
ㄷ. 전후경선 : 미간~후두융기(12cm)
ㄹ. 이하대천문경선 : 대천문~턱(9.5cm)
ㅁ. 대횡경선 : 두정골 좌우융기 사이(9.25cm)
ㅂ. 소횡경선 : 관상봉합 양 관자뼈 사이(8.0cm)
2. 태위
① 모체와 태아의 장축과의 상호관계
② 종위 : 평행/횡위 : 직각
3. 태세
① 임신후반기 : 머리, 몸통, 사지의 상호관계
② 머리(가슴 밀착), 척추(굴곡), 대퇴(복벽 밀착), 팔다리 (흉부 교차)
③ 굴곡
4, 선진부
① 골반 입구에 먼저 들어간 태아의 신체 부분
② 두위
ⓐ 두정위 : 완전굴곡
ⓑ 전정위 : 불완전굴곡
ⓒ 전액위 : 불완전신전
ⓓ 안면위 : 완전신전
③ 둔위
ⓐ 단둔위, 완전둔위, 불완전둔위(족위)
ⓑ 임신 32~34주↑
ⓒ 조산, 다태임신, 둔위 산과력
④ 견갑위
ⓐ 다산부, 복근이완, 자궁/태아기형, 전치태반, 양수 과다증
5. 태향(P.11)
① 선진부와 모체 골반의 전후 좌우면과의 관계
② 좌측(2/3), 우측(1/3)
③ LOA(좌전방 두정위)가 가장 흔함
④ 준거지표
ⓐ 두정위 : 후두골(O)
ⓑ 안면위 : 턱(M)
ⓒ 둔위 : 천골(S)
ⓓ 견갑위 : 견갑골(SC)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