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종합실습 – 국제환자안전목표 IPSG 관련 활동

목차

1. 정확한 환자 확인

2. 효과적인 의사소통
– 구두/전화처방
이상검사결과 보고
인수인계

3. 고농도, 고주의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

4. 정확한 환자, 정확한 부위, 정확한 수술/시술 확인

5. 병원 내 감염위험 감소(손씻기 등)

6. 낙상 위험 감소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정확한 환자 확인으로 환자안전사고 예방
● 모든 진단과 치료과정에서 환자를 정확히 확인
● 안전하고 정확한 치료와 의료서비스 제공
1. 환자 확인 시점
● 의약품 투약 전
● 혈액제제 투여 전
● 검사시행 전
● 진료 전
● 처치 및 시술전

2. 환자확인 방법
환자 이름을 포함한 “두가지 이상” 지표로 환자로부터 확인한다.
1) 개방형 질문으로 환자이름을 확인한다.
(성함이 어떻게 되십니까?)
2) 환자 팔찌, 접수증을 보며 환자 팔찌의 병원 등록번호를 확인한다(등록번호 확인이 어려울 경우 주민등록상 생년 월일을 확인한다).
3) 의식 없거나 의사표현이 어려울 경우 대리인에게 or 환자 팔찌로 2가지 지표를 확인한다.
4) 호실, 침대 위치 등은 환자확인 지표로 사용 불가
● 구두 처방과 관련된 의사소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함

● 보건의료환경에서 다학제간 전문인들과 환자와의 사이에서 간호사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간호의 질과 환자의 안전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
1. 구두/전화처방
1) 구두처방 허용 상황
● 응급상황
● 수술/시술 및 무균술 시술 중
● 전산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 전산으로 입력할 수 없는 경우
※ 수혈, 마약관련 구두지시 금지 (심폐소생술, 수술은 제외)

2) 구두처방 절차
① 환자 확인: 환지이름+등록번호(or 진단명 or 수술명)
② 받아적기(Write down): 약품명, 용량, 용법(경로), 시간
③ 되읽어주기(Read-back): 받아적은 처방내용을 재확인
④ 정확성 확인하기(Confirm) : 처방 지시자(의사)는 되읽은 처방내용을 확인
⑤ 전산 처방 입력: 24시간 이내 내용이 정확한지 확인 후 처방완료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