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상자 소개: 5분 description
2. 간호력
(1) 일반적 사항
(2) 주호소(C.C)
(3) 현병력(OLDCARTS 적용)
(4) 과거병력(PMH)
(5) 가족력(FH-가계도 포함)
(6) 건강습관(술, 담배, 수면, 식이)
(7) 사회력(직업, 경제수준(상,중,하), 가족관계)
(8) 질병에 대한 인식 및 심리적 상태
3. 질병의 기술(출처: 국가암정보센터)
(1) [직장암]
(2) [직장암의 예방]
(3) [직장암의 진단]
(4) [직장암의 치료]
(5) [직장암-수술 전 간호]
(6) [직장암-수술 후 간호]
4. 건강사정(계통별 문진 ROS + 신체검진 PE)
(1) 신장/체중/BMI
(2) 활력징후
(3) I/O
(4) 계통별 건강사정
5. 입원중의 처치
(1) 경구, 비경구적 투약 및 정맥수액주입
(2) 처치 (예, oxygen therapy, 비위관 삽입, EKG monitoring, 인공호흡기 등)
6. 진단검사
(1) 일반 생화학검사 및 방사선 검사
(2) 특수검사
7. 수술방법(해당환자) 및 입원 후 경과
8. 간호과정
본문내용
[직장암]
-발생부위
대장(큰창자)은 소장(작은창자)의 끝에서 시작해 항문까지 연결된 긴 튜브 모양의 소화기관으로, 그 중 직장은 결장과 항문을 연결하는 부위입니다.
-정의 및 종류
대장은 총수, 맹장, 결장, 직장, 그리고 항문관으로 나뉘며, 결장은 다시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에스(S)상결장으로 나뉘는데, 이 가운데 결장과 직장에 생기는 악성 종양이 대장암입니다. 대장암의 대부분은 선암, 즉 점막의 샘세포에 생기는 암이며, 그 밖에 림프종, 육종, 유암종이 생길 수 있습니다.
[직장암의 예방]
-위험요인
50세 이상의 연령, 붉은 육류 및 육가공품의 다량 섭취, 비만, 흡연, 유전적 요인(대장암 가족력 또는 유전성 대장용종증 등), 그리고 선종성 대장용종, 만성 염증성 대장 질환 같은 관련 질환입니다.
-조기검진
국가 암 검진 사업에서는 만 50세 이상이면 1년 간격으로 분변 잠혈 반응 검사를 하여 이상 소견이 나올 경우 대장내시경검사 또는 대장 이중 조영 검사를 받고, 별다른 증상이 없는 사람이라도 45세 이후엔 5~10년에 한 번씩 이 두 검사 중 하나를 받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직장암의 진단]
-일반적 증상
배변 습관의 변화, 설사, 변비, 배변 후 후중기, 혈변 또는 끈적한 점액변, 복통, 복부팽만, 피로감, 식욕부진, 소화불량, 그리고 복부종물 등이 있습니다.
-진단방법
다수의 직장암은 항문을 통한 직장수지 검사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그 외에 대장조영수르 에스결장경, 대장내시경 등이 시행되는데, 이중 대장 전체의 관찰이 가능하고 조직검사까지 동시에 할 수 있는 대장내시경이 가장 효과적이고 정확한 검사로 추천되고 있습니다. 진단에는 정확한 감별이 중요합니다. 예컨대 직장 출혈이 있다면 혹시 대장용종이나 치질, 게실증, 혈관이형성, 궤양성 대장염, 감염성 장염, 허혈성 장염, 고립성 직장궤양 등은 아닌지를 감별해야 하고..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답글 남기기